기초 생활 수급자 받을 수 있는 혜택 다양합니다. 정부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을 가진 국민들을 위해 여러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중 소득이 매우 낮은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 다양합니다. 해당하시는 분은 꼭 도움 받으시기 바랍니다.
기초 생활 수급자 지원 제도
생계 유지가 곤란한 수준의 저소득 대상자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급여의 종류는 생계 급여, 주거 급여, 의료 급여, 교육 급여, 해산 급여, 장제 급여, 자활 급여 이렇게 7가지가 있습니다.
이 지원을 받으려면 일정 기준이 필요합니다.
■ 기초 생활 수급자 자격
- 현재 부양 의무자가 없는 경우
- 부양 능력이 없는 부양 의무자가 있는 경우(의료 급여의 경우 부양 의무자 기준 적용 없음)
결국 나 또는 나의 가족이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그 경제적 어려움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기초 생활 수급자 신청 조건
기초 생활 수급자 조건으로 소득 인정액과 재산이 있습니다.
1. 소득 인정액
- 2024 기준 중위 소득 32% 이하(가장 낮은 생계 급여의 경우)
■ 2024 기준 중위 소득 32%
- 1인 가구 713,000
- 2인 가구 1,178,000
- 3인 가구 1,509,000
- 4인 가구 1,834,000
- 5인 가구 2,143,000
- 6인 가구 2,438,000
※ 의료 급여(중위 소득 40%, 주거 급여(중위 소득 47%), 교육 급여(중위 소득 50%)
2. 재산 기준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해서 적용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는 몇 가지 공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어조차 어렵고 그 방식도 어렵기 때문에 복지로 모의 계산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2023 기초 생활 수급자 받을 수 있는 혜택
기본적인 생계 활동을 위한 여러 가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생계비 감면 혜택
- 주민세 면제
- TV 수신료 면제
- 민원 서류 발급 수수료 면제(주민 등록증, 초본 등)
- 전기 요금 할인
- 통신 요금 할인
- 자동차 종합 검사 수수료 면제
- 상하수도 요금 감면
- 종량제 폐기물 수수료 감면
- 난방비 에너지 바우처 지원
- 도시 가스 요금 감면
- 문화 누리 카드 이용료 지원
2. 의료 지원 혜택
- 임플란트
만 65세 이상 1인 당 평생 2개까지 보험 적용 - 틀니 비용 일부 지원
본인 부담금 5 ~ 15% 외 나머지 국가 지원 - 충치(신경 치료) 지원
의료 급여 수급자에 한해
3. 자산 형성 지원 혜택
- 수급자 본인 또는 자녀의 대학 진학 시 국가 장학금 한 학기 당 350만 원까지 지원
자녀인 경우 첫째 350만 원, 둘째 이후 전액 지원 - 목돈 형성을 위한 정책 계좌 지원
희망 저축 계좌, 청년 내일 저축 계좌 등
기초 생활 수급자 신청 방법
소재지 주민 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선정 결과는 30일 정도 시간이 소요됩니다.
2024 기초 생활 수급자 받을 수 있는 혜택 및 기준 그리고 신청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기준으로 저 기준을 확인하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조건이 비슷하거나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주민 센터를 방문해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