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에 살고 있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정부의 청년 지원 정책이 있습니다. 역세권 청년 주거비 지원 대상 기준 확인해 보시고 해당하시는 분은 꼭 지원 받으시기 바랍니다. 임대 보증금의 최대 50%를 지원해 주는 청년 지원 정책입니다.
역세권 청년 주거비 지원 정책
청년들이 많이 선호하는 역세권 주택 입주에 정부가 지원을 시작합니다. 청년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으로 임대 보증금의 최대 50%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정책으로 서울시에 거주 청년이 그 대상이 됩니다. 신혼부부 및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혼인율과 출산율 감소 문제에 대한 지원 정책입니다.
상대적으로 쉬운 조건과 넓은 대상의 역세권 청년 주거비 지원 정책 그 대상은 어떻게 될까요?
1.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하는 청년 및 신혼부부가 그 대상이 되며 아래 소득과 자산 기준에 충족하는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기준
- 청년: 월 평균 소득 3,353,884원 이하
- 신혼부부: 배우자 포함 월 평균 소득 6,006,451원 이하
■ 자산 기준
- 청년: 2억 9,900만 원 이하
- 신혼부부: 배우자 포함 3억 6,100만 원 이하
2. 지원 금액
임대 보증금의 최대 30%~50%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임대 보증금 금액에 따라 달라지며 무이자도 가능합니다.
- 임대 보증금 1억 원 초과: 보증금 30%
청년: 최대 4500만 원
신혼부부: 최대 6000만 원 - 임대 보증금 1억 원 이하: 보증금 50%
청년 및 신혼부부: 최대 4500만 원
3. 지원금 신청 방법
1년 내내 상시 신청 가능한 지원금 청년 안심 주택 홈페이지 및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임대차 계약을 한 후 입주 3일 전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 온라인 신청 방법
아래 청년 안심 주택 홈페이지 바로 가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청 방법
청년 안심 주택 종합 지원 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위치 보기를 이용해 위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필요 서류
- 본인 및 배우자 소득과 자산 증명 서류
- 건강 보험 자격 득실 확인서
- 건강 보험료 납부 확인서
- 재산세 내역
- 혼인 관계 증명서(신혼부부만)
역세권 청년 주거비 지원 대상 기준 및 신청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들 또는 신혼부부를 위한 실질적 지원 정책입니다. 비교적 낮은 기준이 적용되기에 많은 분들이 해당할 수 있습니다. 상시 신청이 가능하니 꼭 신청하셔서 지원금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