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급여를 받으려면 나의 의지가 아닌 다른 이유로 회사를 그만두는 경우 해당된다고 알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내 의지로 그만두는 그만두더라도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는 방법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조건에 맞으면 이 경우도 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 안정, 재취업 기회 보장 위한 실업급여
고용 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실직하는 경우 재 취업을 하기까지 생활을 보장하는 제도가 실업급여입니다. 구직 활동이 동반되기에 구직 급여라고도 합니다.
자진 퇴사의 경우 대부분 포기하는 제도이지만 경우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는 방법
우선 실업급여 수령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해야 합니다.
- 고용 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
퇴사일로부터 18개월 전까지(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24개월) - 적극적인 구직 활동 및 구직 의사(재 취업 안된 상태)
이 조건에 부합하면서 자발적 퇴사를 한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아래 바로 가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권고 사직으로 퇴사한 경우
회사의 어떤 이유로 퇴사를 권유 받아 그만둔 경우입니다.
2. 출산 및 육아를 위해 퇴사한 경우
출산이나 육아를 위해 나라에서 육아 휴직 제도를 만들었으나 이를 이용하지 못하고 퇴사를 하게 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이것을 이용하지 못했음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통근 시간이 문제가 되어 퇴사한 경우
통근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인 경우 이것의 사유로 퇴사하게 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아래 조건에 부합해야 합니다.
- 취업 당시 작성했던 근로 계약서의 주소에서 더 먼 곳으로 이사해 시간이 늘어난 경우
- 회사의 이전으로 시간이 늘어난 경우
※ 출퇴근 시간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 하는 왕복 시간입니다.
4. 회사의 문제로 퇴사한 경우
회사의 문제라 함은 회사에게 귀책이 되는 문제를 말합니다. 근로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이 지켜지지 않거나 회사 내부의 불미스러운 일이나 환경 등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 급여 지급 지연
- 계약서 상의 업무 외 다른 업무 지시
- 계약서 상의 근무지 외 다른 장소 근무 지시
-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5. 개인 질병으로 인해 퇴사한 경우
정상적인 근무에 지장을 줄 정도의 질병 때문에 치료에 집중이 필요한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6. 정년 퇴직 또는 계약 만료로 퇴직을 한 경우
정년 퇴직 역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약 만료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단, 회사의 연장 계약 의사에도 불구하고 내가 계약하지 않은 경우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는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거나 애매하지 않습니다. 내 의지가 아닌 어떤 이유로 회사를 그만두었거나 그런 상황에 가깝다면 위 조건 꼭 확인해보시고 준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퇴직 후 1년 내 신청이 가능하기에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