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면제 한도 얼마까지 가능한지 알아두셔야 만일의 상황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소홀히 여기시면 엄청난 세금 폭탄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법 계정으로 그 한도에 많은 변화가 생겼기에 다음을 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개념
증여세는 누군가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줄 때 발생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증여 자가 주는 재산을 받을 때, 그 재산에 대해 세금을 납부하게 되며 이 세금은 무상으로 이전 되는 재산을 국가에서 방어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 변화
기본 면제 한도에서 올 2024년 변화가 생겼습니다.
■ 기존 증여세 면제 한도
면제 한도는 가족 관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10년을 기준 아래와 같았습니다.
- 배우자 6억 원까지
- 직계 존속(부모) 5천만 원까지
- 미성년 자녀 2천만 원까지
- 직계 비속(성인 자녀) 5천만 원까지
- 기타 친족 1천만 원까지
■ 2024년 변화 증여세 면제 한도
기존 한도에 혼인과 출산에 대한 비중이 추가적으로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일종의 저출산 대책이라고 하겠습니다.
- 혼인 신고일 전후 2년 내 증여 1억 원 더 공제
-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직계 존속의 증여 시 1억 원 공제
■ 증여세 과세 표준 세율 5 단계
- 1억 원 이하: 10%
- 1억 원 ~ 5억 원: 20%(누진 공제 1천만 원)
- 5억 원 ~ 10억 원: 30% (누진 공제 6천만 원)
- 10억 원 ~ 30억 원: 40%(누진 공제 1억 6천만 원)
- 30억 원 초과: 50%(누진 공제 4억 6천만 원)
증여 받는 금액이 늘어날수록 세율도 높아집니다. 나의 증여세 계산이 어려운 분들은 아래 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 방법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하며 이를 위반 시 가산세가 부과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신고는 세무서에 직접 신고하고 제출하거나 홈택스로 온라인 신고가 가능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 얼마까지 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증여세는 법으로 정해진 의무 사항입니다. 미 신고 시 국세청 세무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여 계획을 가진 분들은 꼭 관련 상담 등을 통해 합법적인 증여와 절세를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