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고팔 때 세금 종류 어떤 것이 있을까요? 부동산 매매 경험이 많은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경험이 적거나 없는 분들 또는 세금을 걱정하는 분들은 이것을 잘 알아야 합니다. 어마어마하게 나 올 수 있는 세금 알고 모르고 차이는 매우 크게 작용합니다.
집 사고팔 때 세금 종류 실제로 내야 하는 것
이런 부동산 세금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금, 보유하고 살고 있으면서 발생하는 세금 그리고 판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1. 내 집을 살 때 발생하는 세금 취득세
해당 집을 구입했을 때 발생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집을 구입해서 소유하면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다음의 경우 취득세가 발생합니다.
- 기존 주택 구입
- 신축 아파트 분양
- 상속 또는 증여
취득세와 이 집을 내가 구입해서 내 명의라고 등록할 때 발생하는 등록세가 분리되었지만 지금은 취득세 또는 취등록세라고 하나로 통합되었습니다.
■ 취득세 세율
이것의 세율은 주택의 가격과 1 주택, 2 주택 등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각종 부동산 정책 등에 의해 변동 되기도 합니다. 또한 생애 최초 등의 경우 기준 이하 주택에 대해 면제가 되기도 합니다.
※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취득세 감면
- 12억 원 이하 주택의 경우 취득세 100% 면제(최대 200만 원 한 내)
- 2025년 12월 31일까지 시행
따라서 개인이 이것을 계산하기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에 위택스 취득세 계산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2. 내 집에 살면서 발생하는 세금 재산세, 종합 부동산세
재산세는 내 재산에 대한 세금이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종합 부동산세의 경우 기준 이상의 경우만 세금 대상이 됩니다.
- 재산세
재산을 가진 사람이 내는 세금(부동산 등)
7월, 9월 2회 납부(단, 20만 원 이하의 경우 한 번만 납부) - 종합 부동산세
공시 지가 12억 원 넘는 부동산 소유자에 대한 세금
다주택자의 경우 소유 부동산 전체 합산 9억 원 이상이면 납부 대상
매매가와 공시지가는 다릅니다. 따라서 지금 내 집의 공시지가를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유한 내 집의 공시 가격과 주택의 종, 1 주택 또는 다주택 소유 여부 그리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으로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의 세율은 수시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은 아래 계산기를 이용해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3. 내 집을 타인에게 팔 때 발생하는 세금 양도 소득세
양도 소득세는 지금 이 집을 살 때 낸 집 값보다 팔 때 가격이 올라 차액을 벌었다면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집 값에 따라 세율이 다르며 다주택자의 경우 중과세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 기본 세율
6~45% - 다주택자 중과세 세율
2 주택자: 26~65%
3 주택자: 36~75%
양도세는 계산에 필요한 기준이 복잡하고 정부의 정책에 따라 영향이 크기에 계산기를 할 용해 계산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단, 다주택자 양도 소득세 중과세 적용은 조정 대상 지역에만 적용됩니다.
또한 정부의 다주택자 양도세 인하 정책으로 주택 보유 기간 2년 이상인 경우 2025년 5월 9일까지 기본 세율 적용 대상이 됩니다.
집 사고팔 때 세금 종류 실제로 내야 하는 것 알아보았습니다.
세금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이것을 감면 받거나 줄이는 절세 노하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분명 줄일 수 있는 세금일 모두 내야 한다면 참 억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