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보험 요율 얼마 2024

4대 보험 요율 얼마 적용될까요? 매년 변동이 있는 이것의 2024년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매달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4대 보험에 대해 무엇이 어떤 기준으로 얼마나 빠져나가고 있는지 꼭 알아둬야 합니다. 그 요율과 계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요율


직장인 의무 가입 4대 보험


매달 받는 월급 명세서의 4대 보험료 마이너스 항목을 보셨을 것입니다. 국민 연금, 건강 보험, 고용 보험, 산재 보험 이렇게 4가지를 4대 보험이라 부르며 정상적인 근로자의 경우 의무 가입하는 보험입니다.

즉, 무조건 내야 하는 세금이며 이것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사회 보장 제도입니다. 노후, 실업, 질병, 사고 등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매월 납부하고 각종 혜택을 받게 됩니다.

내 월급에서 선 공제 되는 4대 보험료가 정확한 것인지 셀프로 모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아래 모의 계산기를 이용해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 4대 보험 모의 계산


2024 4대 보험 요율


매년 변동이 생기는 이 요율의 2024년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 연금: 9%
    사업주 4.5%, 근로자 4.5% 부담
  • 건강 보험: 7.09%
    사업주 3.545%, 근로자 3.545% 부담
  • 고용 보험: 1.8%
    사업주 0.9%, 근로자 0.9% 부담
  • 산재 보험: 0.56% ~ 18.56%
    업종별 위험도에 따라 차등 요율 적용
    보험료 전액 사업주 부담


지역 가입자 건보료 줄이는 방법


4대 보험 계산 방법


이 요율이 적용되어 계산된 금액을 우리는 명세서에 확이할 수 있습니다. 어떤 수식으로 계산된 돈일까요?

국민 연금, 건강 보험, 고용 보험처럼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하는 경우는 내 월 급여에 이 요율을 곱하면 됩니다.


국민 연금 더 받는 방법


예를 들어 세 전 월 350만 원의 급여가 책정된 분이라면 3,500,000원 × 국민 연금 요율(4.5%), 건강 보험 요율(3.454%), 고용 보험 요율(0.9%) 이렇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계산으로 계산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계산식내가 낼 세금 (원)
국민 연금350만원 * 국민 연금 요율(4.5%)157,500
건강 보험350만원 * 건강 보험 요율(3.454%)120,890
고용 보험350만원 * 고용 보험 요율(0.9%)31,500



단, 산재 보험료의 경우 사업주 전액 부담이기에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위 계산이 어렵거나 조금 더 특별한 조건이 있는 근로자 분이라면 아래 계산기를 이용해 직접 모의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4대 보험 계산기


2024 4대 보험 요율 밀 계산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4대 보험은 국민을 위한 국가의 최소한의 보장입니다. 보험료 납부는 아깝고 억울할 수 있지만 내 삶의 보장을 위한 안전장치 중 하나 입니다.